현재 많은 기사가 뜨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SEC가 제소한 리플의 소송 취하 가능성에 대한 얘기인데요 많은 기사들과 블로그들이 소송 취하 가능성에 대해서 점치고 있습니다.
뉴스에서 말하는 긍정적인 방향은 SEC 리플 소송 취하 청원 서명자가 3만 명이 넘었다는 점에 있습니다. 그런데 단순히 청원만 있는데도 이렇게 기사가 뜨는 건지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목차
- 청원 3만명 돌파
- XRP 청원이 시작된 change.org, 믿을 수 있나요?
- 소송과 관련된 청원이 3만 명을 돌파한 만큼 좋은 소식인가요?
- 좋은 소식 맞네요?
- 결론
청원 3만명 돌파
먼저 확실한 점은 리플과의 소송전을 끝내 달라는 청원이 3만 명을 넘었다는 점입니다. 기사에서 말하는 내용은 이 청원을 이용해서 소송 취하 가능성을 이끌어내겠다는 점인데 가능한 주장인지 알아보겠습니다
XRP 청원이 시작된 change.org, 믿을 수 있나요?
청원을 받은 방식은 당연하게도 온라인 서명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어디서 서명을 받았느냐가 중요하겠는데 서명을 받은 사이트는 change.org 사이트입니다.
해당 사이트는 생각보다 굉장한 영향력을 가진 사이트였습니다. 미국의 사이트로 알려져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청원에 사용되는 사이트였습니다.
마치 우리나라의 청와대 국민청원과도 유사한 역할을 하는 사이트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도 서명을 통해 여러 번의 승리를 거뒀다고 말할 만큼 이력이 많은 사이트이기도 합니다.

이번 리플 청원 또한 해당 사이트에서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명확하지는 않지만 해당 사이트에서는 청원에 대한 서명자가 1만명이 넘을 경우 정부 관계자가 이에 대한 답변을 하도록 하고 있다고 합니다.
보면 볼 수록 청와대 국민청원과 굉장히 유사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소송과 관련된 서명이 3만명을 돌파한 만큼 좋은 소식인 건가요?
일단 먼저 3만명이 서명한 청원을 직접 눈으로 봐야 될 것 같았습니다. change.org 사이트에서 직접적으로 검색해서는 찾기 힘들었고 트위터를 통해서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약 6천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트윗입니다. 여기서 숏 링크로 가상화폐 관련 청원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글을 작성하고 있는 현재 청원은 종료된 상황이었습니다.

해당 청원은 실제로 존재하는 청원이었고 알려진대로 3만 명이 돌파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 우측 상단에 붉은색 박스를 확인했을 때 30,070명의 서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청원이 끝난 현재 기준으로 약 1주일전에 청원서 제출자인 토마스 호지가 관련 글을 업데이트하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내용을 편하게 보실 수 있도록 구글 번역기를 돌린 점 참고 바랍니다. 해당 청원자는 SEC 회장에게 해당 청원서를 제출한다고 합니다.
좋은 소식 맞네요?
네, 좋은 소식 맞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까지 해당 청원 하나를 베이스로 작성된 긍정적인 기사들을 믿을 수 있을까 하는 게 제 개인적인 판단입니다.
이렇게 생각한 몇 가지 판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기사들처럼 저 또한 개인적인 판단이니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첫 번째, 청원의 서명자의 수가 생각보다 적다는 점입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청원들 중 일부를 캡처한 이미지입니다.

주목할 점은 청원 자수에 있습니다. 생각보다 3만 명을 돌파하는 청원이 굉장히 많고 심지어 15만을 돌파한 청원도 있습니다.
아래로 내려보니 30만 명을 넘은 청원 또한 존재하고 심지어 3백만을 넘은 서명 또한 존재했습니다. 이렇게 볼 때 3만 명이란 숫자는 절대적으로 많은 청원 숫자는 아니라는 판단이 듭니다.
물론 해당 사이트에서는 1만 명이 넘으면 정부 관계자가 답변을 해준다는 얘기를 들은 만큼 확실하게 유의미한 청원자 수이기는 합니다만 무언가를 뒤집을 정도로 압도적인 숫자는 아니라는 게 개인적 판단입니다.
두 번째, 해당 사이트는 '정부에서 만든 사이트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거 아시나요? 많은 사이트들이 도메인으로 정부 사이트인지 아닌지 구별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go.kr로 도메인이 끝납니다. 미국의 경우 gov라는 도메인을 사용하죠 government의 약자입니다. change의 도메인은. org로 끝납니다.
조금 찾아봤더니 역시나 비영리 공공 자선단체가 아니라 수백만 달러 규모의 영리 민간 기업이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청와대 국민청원과는 확실히 다른 기반을 가진 셈입니다.
물론 change 청원 사이트는 영향력이 있는 사이트이고 실제로 청원을 통해 많은 승리를 이끌어 낸 사이트임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이번 가상화폐와 관련된 사항은 굉장히 민감한 사항인 만큼 청원 하나만을 사용해서 무언가 결과를 얻기에는 많이 어려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지배적입니다.
세 번째, 정말 청원밖에 없다입니다. 무슨 말씀을 드리는 거냐면 검색을 해봐도 청원 말고는 별다른 내용이 없습니다. 다른 좋은 정보와 좀 겹치게 되어 시너지가 가능했으면 이런 생각은 들지 않았을 텐데 말입니다.
기사가 발행된 시점을 기준으로 봤을 때 이렇다 할 소식을 구글에서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물론 제가 못 찾은걸 수도 있겠습니다만 반대로 생각하면 쉽게 찾아야 더 확실한 정보가 아닐까 합니다.
메이저 사이트에서 공개적으로 발행을 해줬다면 구글에서 손쉽게 찾을 수 있었을 것이고 다른 사이트에서 참조도 굉장히 많이 됐겠지만 아쉽게도 이번 검색에서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결론
분명한 것은 청원과 3만 명 이상의 서명은 긍정적인 소식이라는 점입니다. 하지만 정말 그것뿐이라는 점을 잊으면 안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사이트는 정부기관 산하의 사이트도 아니고 따라서 정부 관계자가 반드시 답변을 해야만 하는 사이트도 아닐 것입니다.
리플 소송 전망이 취하될 것처럼 말하는 기사들이 몇몇 있는데 위의 내용을 명심하시고 꼭 객관적인 판단하에 추가적인 가상화폐 투자를 진행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가상화폐 시세가 변동성이 심한 만큼 신빙성 있는 정보로 성공적인 투자 하시어 천천히 수익 내시길 바라겠습니다. 위의 내용 중 주관적인 내용이 있을 수 있다는 점 다시 한번 말씀드리며 글 마치겠습니다.
'Tech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워뇨띠 매매법 600만원에서 1000억까지?(ft. 마진거래) (0) | 2021.05.21 |
|---|---|
| vmware workstation , player 차이와 무료 사용법 (0) | 2021.05.16 |
| 리플 소송 결과에 따른 전망 (0) | 2021.05.05 |
| DNS 서버주소 설정 및 확인 방법 안내 (0) | 2021.05.03 |
| 비트코인 세금 - 가상화폐 과세 비율 및 시행 시기 (0) | 2021.04.26 |




최근댓글